분류 전체보기
-
[19.06.14] 오픈 패스_2일 차_UX스터디/UI UX 디자인 2019. 6. 18. 22:54
검정색 - 수업 내용, 파란색 - 나의 의견 유저 리서치를 하는 이유 1. 사람이 제품, 상황을 이해하는 방식을 알게 된다 2. 행동과 결정이 어떤 맥락에서 바뀌는지 이해 가능하다. 3. 잠재적 욕구, 필요성, 경험을 배움으로써 의미있는 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 4. 사용자층을 확장하거나 현재 제품을 개선할 기회를 모색한다. 유저 리서치 종류 1. 서베이 2. 다이어리 스터디 3. 포커스 그룹 토의 4. 쉐도잉 5. 인터뷰 6. 사용성 테스트 등등 인터뷰 프로세스 목적 정의 인터뷰를 통해 알고 싶은 것이 무엇인가? 인터뷰를 하기 전에 팀에서 가지고 있는 '기대'와 '가설'을 공유한다 인터뷰 종료 후 리서치 내용 정리 시 기대의 간극, 가설의 검증을 할 수 있다 조사 초점 수립 조사 방법 결정 직접 관찰 ..
-
[19.06.11] 오픈 패스_1일 차_UX스터디/UI UX 디자인 2019. 6. 11. 23:05
진행자 : 진현정 님, 8년 차 디자이너, 리서치-전략-화면 설계 직무 수행 Intro "어떻게 하면 UX 프로젝트를 재미있고 의미있게 할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이번 여행을 재미있고 의미있게 잘 다녀올 수 있을까?" -UX 프로젝트에서 지도(Map), 관점을 제시하는 기준(User)이 필요하다. 더블 다이아몬드 프로세스로 강의를 진행하려고 함. 조사 - 분석 - 전략 - 실행 프로젝트의 특성, 목표, 제약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 방법론을 왜 써야할까? 1. 팀 : 협업과 분업 2. 최소한의 퀄리티 유지와 클라이언트 신뢰 확보 3. 지속적인 경험 축적 View Point 핵심 키워드 : 유저, Context 즉, 더블 다이아몬드 프로세스를 유저, Context 두 가지 관점으로 관통한다. 1 STEP..
-
[영상] 레이아웃을 디자인할 때 그리드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스터디/UI UX 디자인 2019. 6. 1. 12:18
영상에서 그리드를 사용하길 권하는 이유는 두 가지이다. 첫 번째, 디자이너라면 규격에 얽메이지 않고 결과물을 자유롭게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사용자 입장에서는 정보를 한 눈에 파악해야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즉, 사용자에게 명확한 정보를 전달한다는 점에서 그리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두 번째, 그리드를 사용하면 창의성이 저해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그리드를 활용하면서 창의성도 발휘할 수 있는 지점이 있다. 파란색 영역은 3 grid에서 벗어났지만, 핵심 정보는 규격 안에 있다. 또한 중간에 보라색 버튼도 그리드에서 살짝 벗어나 배치를 했다. 즉, 그리드라고 해도 꼭 그 안에 모든 것을 배치한다는 것이 아니라, 핵심 정보는 그 안에 넣되 그 밖에 장식적인 요소에서 충분히 창의성을 발휘할 여지..
-
190528 HTML/CSS 학습 노트 - 2스터디/프론트 엔드 2019. 5. 28. 22:30
1. 좋은 id, class 이름 짓는 Convention이 있으니 찾아서 사용하도록 하자 + 지인으로부터 도움받은 링크 ↓ [CSS] 디버깅 시간을 절약 할 수있는 CSS 명명 규칙 많은 개발자들이 CSS를 싫어한다고 들었습니다. 내 경험에 의하면, 이것은 CSS를 배우는 데 시간을 투자하지 않아 생긴 결과입니다. CSS는 가장 훌륭한 '언어'는 아니지만 20년 넘게 웹 스타일을 성공적으로... www.vobour.com [코드스쿼드] CSS 클래스와 네이밍 CSS 클래스와 네이밍 antaehyeon.github.io 2. id, class 사용은 팀 or 개인이 정한 규칙을 따르면 된다. 3. style을 HTML 페이지에 적용하는 세 가지 방법 inline - HTML 태그 안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
[퍼온 글] 에어비앤비 디자인 시스템 요약스터디/디자인 시스템 2019. 5. 28. 21:33
2018년 11월 2일 에어비앤비 디자인 시스템 총괄 매니저 한유진 님의 강연 중 Session 1,2,4를 요약한 글입니다. 목차 Session 1. 왜 디자인 시스템인가? Session 2. 에어비앤비 디자인 시스템 케이스 스터디 Session 4. 질의응답 Session 1. 왜 디자인 시스템인가? 디자인 진행 단계 일반적인 사용하는 디자인 프로세스 discover — define — develop — deliver 중 define의 단계를 살펴봄 1. Mood board 작성 콜라주 형식의 이미지, 타이포그래피, 아이콘, ui 샘플 등 시각적인 요소들을 모아서 분석하는 기법 실제 디자인 또는 콘셉트 설정에 앞서 특정 분위기들을 설정하고 공유하기 위한 자료 무드 보드가 좋은 이유는 콘셉트 설정 시 ..
-
디자인과 엔지니어링 갭에 디자인 시스템으로 다리 놓기스터디/디자인 시스템 2019. 5. 28. 21:14
서베이몽키라는 서베이 서비스의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한 Mike Dick의 강연 중 중요한 내용만 간추린 글입니다. 동영상 링크 ↓ Bridging the Design and Engineering Gap With Design Systems Designers today are caught between shunning redline specs and being overwhelmed to learn new skills to bring their designs to life. Out of this tension comes design systems – not only a more efficient way to design, but a better a way to bridge the gap bet www.reth..
-
[퍼온 글] 왜 우리는 디자인 시스템이 필요한가 — 듀오톤 정다영 대표스터디/디자인 시스템 2019. 5. 28. 16:48
왜 우리는 디자인 시스템이 필요한가 — 듀오톤 정다영 대표 디자인 프레임웍 (Deisgn Frameworks)1. Define — Design — Develop 2. 여러 디자인 프레임웍을 사용했었다 유명한 디자인 프레임웍: Google sprint/IDEO/double Diamond 3. 듀오톤에서 사용했던 프레임웍 (Case: ProtoPie Rebranding) 00. Pre-study: 프로젝트/프로덕트의 산업 백그라운드 리서치, 분석 01. Goal: 정의 과정. 6W 방법 활용. Golden Circle (Youtube) 02. Direction: 보통은 두 방향. 03. Keywords 04. Visualization: Mood board. 각각 생각하는 키워드별 이미지를 찾아서 무드 보드를..
-
[핵심 번역] 어떻게 디자인 시스템 구축에 동의를 얻어내는가?스터디/디자인 시스템 2019. 5. 28. 16:29
핵심 디자인 시스템의 부재로 느껴지는 비효율성. 이에 비롯된 자원 낭비를 피부로 느끼지만, 그 필요성을 회사 내부에서 소통하며 주장하기는 쉽지 않다. 그 이유는 평소 업무가 기능적인지, 근본적인지에 따라 나뉘기 때문이다. 평소 업무는 기능적이다. 내가 A라는 기능의 디자인 작업을 하면 눈에 보이고, 종종 비즈니스적 성과까지 얻어낼 수 있다. 반면에 디자인 시스템은 말 그대로 바닥부터 뼈대를 세워가는 근본적인 일이다. 눈에 보이지 않고, 그 속도가 느리다. 물론 둘 다 중요하지만, 우선순위에 따라 근본적인 작업은 뒤로 미뤄진다. We’ve all talked about design systems enough that it seems like by now, the benefits of having one 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