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06.14] 오픈 패스_2일 차_UX스터디/UI UX 디자인 2019. 6. 18. 22:54
검정색 - 수업 내용, 파란색 - 나의 의견
유저 리서치를 하는 이유
1. 사람이 제품, 상황을 이해하는 방식을 알게 된다
2. 행동과 결정이 어떤 맥락에서 바뀌는지 이해 가능하다.
3. 잠재적 욕구, 필요성, 경험을 배움으로써 의미있는 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
4. 사용자층을 확장하거나 현재 제품을 개선할 기회를 모색한다.
유저 리서치 종류
1. 서베이
2. 다이어리 스터디
3. 포커스 그룹 토의
4. 쉐도잉
5. 인터뷰
6. 사용성 테스트
등등
인터뷰 프로세스
- 목적 정의
- 인터뷰를 통해 알고 싶은 것이 무엇인가?
- 인터뷰를 하기 전에 팀에서 가지고 있는 '기대'와 '가설'을 공유한다
- 인터뷰 종료 후 리서치 내용 정리 시 기대의 간극, 가설의 검증을 할 수 있다
- 조사 초점 수립
- 인터뷰를 통해 알고 싶은 것이 무엇인가?
- 조사 방법 결정
- 직접 관찰 및 조사 (Low risk, High cost)
- 간접 조사 (Low cost, High risk)
- FGD / IDI / Contextual Interview ...
- 시간, 돈, 인력 리소스에 따라 리서치 방법이 달라진다
- 또한 리서치 숙련도에 따라 리더가 진행하는 방법도 달라진다
- 인터뷰 대상자 선정
- 단순히 인구 통계학적 기준 보다는 행동패턴에 초점을 맞춘다
- 나이, 직업과 같은 정보는 개인을 '분류'하기 쉽지만, '공감'하기는 어렵다. 그 이유는 나이, 직업과 같은 큰 카테고리로 분류하면 개인의 특성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가장 노이즈가 적고 사실을 파악하기 적합한 행동패턴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 누구를 만나고 싶은가?
- 초보자 / 전문가 (극단적 사용자)
- 평균적 사용자를 만날 경우 Pain Point와 통찰도 평균 수준에 머물 가능성이 높다
- 직접 대상자 / 간접 대상자
- 과거 소셜 벤처 서비스를 개선하는 프로젝트가 있었는데, 돈을 지불하는 사람은 부모였고,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은 아이였다. 이 경우 부모가 간접 대상자, 아이가 직접 대상자에 해당한다.
- 현재의 사용자 / 과거의 사용자 /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
- Screening : 인터뷰 대상자를 몇몇 기준에 의해 기계적으로 거르는 과정
- Filtering : FGD, Diary study 등을 통하여 최종 인터뷰 대상자를 걸러내기도 함
- 인터뷰이를 모집하기도 한다
- 질문지 작성
- 인터뷰에서 얻을 주요 포인트가 드러나야 함
- 인터뷰 준비 시 얻고자 했던 포인트를 질문에 녹여야 한다
- 질문지는 기둥 질문과 가지 질문으로 구성된다
- 물어볼 것
- 실제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 구체적인 정보와 사실 관계
- 물어보지 말아야 할 것
- 디자인 아이디어, 미래나 바라는 바에 대한 예측 정보, 평균적인 정보
- 아이디어는 특성 상 생각이 정체되는 경우가 종종 생긴다. 더욱이 기발한 아이디어라고 판단되는 경우 그 경향이 강해진다. 하지만 검증을 할 단계가 아니므로, 아이디어에 대한 추측성 논의는 무의미하다.
- 디자인 아이디어, 미래나 바라는 바에 대한 예측 정보, 평균적인 정보
- 인터뷰에서 얻을 주요 포인트가 드러나야 함
- 인터뷰 준비
- Pilot Interview : 파일럿 진행 후 질문 및 방법 수정
- 스케줄링 : 업무 특성 고려한 시간대 선정
- 사용자 동의서 준비
- 팀 역할 분배(진행, 기록, 관찰 등)
- 기록 도구
- 사례금 또는 답례품
- 다과 및 음료
- 시뮬레이션
- 인터뷰 진행
- 자기 소개, 조사 목적 및 개략적 내용, 소요 시간 안내
- 가장 많이 저지르는 실수 중 하나. 다짜고자 메인 질문으로 돌진하는 사람이 있다. 이 경우 준비 운동없이 차가운 수영장에 뛰어드는 것과 같다. 인터뷰이에게 당황스러움을 안겨주고 들어가는 셈이다. 경우에 따라 그 감정이 오래가면서 집중을 못하는 사람도 있어 주의할 필요가 있다.
- 촬영, 녹음, 녹화 등에 대한 양해 구하기
- 동의를 구하지 않으면 불법이다. 철컹철컹
- 사용자로부터 배운다는 자세
- 해야할 것
- 편안한 분위기 조성, 인터뷰 흐름에 대한 준비
- 질문지를 따르되, 부드러운 흐름이 유지
- 메인 질문 외 얼마든지 곁가지 치듯 질문을 해도 좋다. 핵심은 부드러운 '대화'이다. 취조가 아니라.
- '열린 질문'을 할 것
- 사용자가 자신의 이야기 하도록 만들 것
- 경청 스킬이 필요하다
- + 그리고 또, 왜 를 물어보는 습관을 들이자. 질문에 대한 첫 번째 답변은 대부분 형식 상, 예의 상 하는 경우가 많다. 생각을 하도록 만들기 위해 '그리고 또 뭐가 있었나요?'라고 물어보자. 또한 그 이유를 묻는 것을 잊지 말자
- 하지 말아야 할 것
- 한번에 여러 질문
- 질문지에만 의존
- '닫힌 질문' : 예 아니오, A or B로만 대답 가능한 질문
- 유도 질문
- 사용자의 위시 리스트, 디자인 아이디어
- 인터뷰어의 경험 공유
- 자기 소개, 조사 목적 및 개략적 내용, 소요 시간 안내
- 인터뷰 종료
인터뷰 연습한 내용
https://paper.dropbox.com/doc/_UX_2-_IDI--AfbLz591SheYaViLG~InKD2tAQ-sTFgoRPe9mHLsv8mmxDiA
오늘 느낀 점과 배운 점
1. 다른 팀 발표 자료를 봤을 때 든 생각, 아! 내가 너무 얇고 넓게 조사했나? 더 깊게 들어갈 여지를 스스로 막았나? 이 정도면 된 것 같다 라는 무의식적 사고를 한 듯 하다. 다른 팀 자료를 통해 리서치할 때 어떤 점을 놓쳤는지, 다음 번에는 어떻게 리서치 계획을 세울지 점검하자.
2. 팀원들이 강점을 발휘하도록 끌어내는것도 중요하지만, 새로운 역할에 대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도 같은 비중으로 중요하다.
상황에 따라 각 팀원들이 보여주는 강점 포인트 등이 다르기 때문에, 그 지점을 찾고 내가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보자.
G님전체 프로세스와 Phase에 대한 이해가 있어서 상황을 조망할 수 있다. 또한 디테일도 놓치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이슈를 처리하는데 있어 감정을 소모하는 것이 아니라 객관적인 아젠다를 꺼낸다던지, 그 의미를 다시 짚는다던지 업무에 있어 불필요한 감정을 뺄 줄 안다.
B님
꼼꼼하고 차분해서 해야 할 부분을 놓치지 않고 한다. 또한 업무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서 협업할 때 대화를 나누기 편하다.
툴에 대한 능숙도가 가장 높은 듯 하다.
H님
본업을 하면서 사이드로 하는 터라 참여도나 이해도는 어쩔 수 없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밖에 없다고 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열정적으로 참여하시고 계신다. 논의를 충분히 해야할 타이밍에 나서서 의견을 제시하는 편이라 깊게 고민할 때 도움을 제공한다.3. 발표할 때 항상 가지고 있던 고질적 문제가 오랜만에 또 나왔다. 캠버 컬리지에서 훌련했던 감각을 잊은 듯하다. 내가 말 해야할 내용보다 사고 과정이 더 빨라서 말이 꼬이는 문제가 많이 있다. 지용님처럼 천천히 말하는 훈련을 하자. 만약 내가 전체 내용에 대한 이해가 덜 됐다면 더욱 천천히 사고하려고 노력하자
4. 리서치 설계뿐만 아니라 질문 설계 역시도 훈련이 필요하다. 오랜만에 인터뷰 질문 아이데이션을 했던 터라 ‘맥락’에 따른 질문 구성 연습이 필요하다
5. B님께서 다 같이 헤어지기 전에 언급했던 말 중에 ‘이번에 질문지를 짤 때 제가 자유롭게 짜볼께요. 조건이 있으면 조금...’이라는 말씀을 했다.
그 말은 내가 평소에 어떤 기준을 자꾸 제시하고 그 안에서 논의하도록 하기 때문에, 사고의 제한을 두는게 아닌가 라는 나의 추측이 들어맞는 리액션이라고 생각한다. 즉, 내가 나서서 정리하려고 하다보니 그 정리로 인해 어떤 정보나 의사결정에 조건에 생긴다. 그 조건이 팀원들의 사고를 자유롭게 만들지 못하고, 틀 안에서 사고하는 느낌을 주고 있는게 아니었나 싶다.'스터디 > UI UX 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06.27] 오픈패스_무드보드 만들기 (0) 2019.06.27 [19.06.25] 오픈 패스_5일차_GUI (0) 2019.06.26 [19.06.11] 오픈 패스_1일 차_UX (0) 2019.06.11 [영상] 레이아웃을 디자인할 때 그리드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0) 2019.06.01 구조적 관점에서 UI UX 문제를 바라보기 (0) 2019.05.28 - 목적 정의